Blog/HTML
이미지 태그 src,alt 속성
이미지 태그 src,alt 속성
2018.03.05src 속성 이미지를 웹 문서에 넣으려면 src 속성에 정확한 파일 경로를 지정해야 한다. 웹 문서 파일과 이미지 파일이 같은 경로에 있다면 src 속성에는 간단히 이미지 파일의 이름만 입력하면 된다. 아래는 example 이미지 파일로 든 예시 태그다. 반면, images라는 하위 폴더에 이미지 파일이 있으면 아래와 같이 하위 폴더 경로도 같이 써준다. alt 속성 alt 속성은 이미지를 설명해 주는 대체 텍스트다. 즉 이미지를 출력할 수 없을 때 나타날 텍스트를 지정하는 것이다. 보통 alt 속성이 없어도 이미지를 출력하는 데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티스토리는 본문에 이미지를 넣으면 기본적으로 alt 속성이 추가되지 않기 때문에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내 링크 관리에서 느낌표를 만드는 원인이기도 하다.
기타 텍스트 관련 태그들
기타 텍스트 관련 태그들
2018.01.24태그 약자 표시, title 속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태그 웹 문서나 포스트에서 참고 내용을 표시한다. 태그 컴퓨터 인식을 위한 소스 코드다. 태그 키보드 입력이나 음성 명령 같은 사용자 입력 내용을 표시한다. 태그 부가 정보처럼 텍스트를 작게 표시한다. 태그 아래 첨자 태그 위 첨자 태그 텍스트 중앙에 취소선을 표시한다. 태그 텍스트 아래 밑줄을 표시한다.
텍스트를 한 줄로 표시하는 태그
텍스트를 한 줄로 표시하는 태그
2018.01.24태그, 태그 - 굵게 표시 텍스트 중에서 굵게 표시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 텍스트 z 태그, 태그 - 이탤릭체로 표시 텍스트를 비스듬히 이탤릭체로 표시할 때는 태그나 태그를 사용한다. 텍스트 z 태그 - 인용 내용 표시 인용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태그가 태그와 다른 점은 태그는 블록 레벨 태그이기 때문에 인용 내용이 줄이 바뀌어 나타나고 다른 내용과 구별되도록 안으로 들여 써지지만 태그는 인라인 레벨 태그이기 때문에 줄바꿈 없이 다른 내용과 함께 한 줄로 표시되고 인용 내용을 구별할 수 있도록 인용 내용에 따옴표를 붙여 표시하는 점이다.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태그 - 형광펜 효과 지정한 부분의 배경색이 노란색이 되며 형광펜으로 그어 놓은 듯한 효..
텍스트를 블록으로 묶어 처리하는 태그
텍스트를 블록으로 묶어 처리하는 태그
2018.01.24태그 - 제목 표시 제목 크기에 따라 ~ 태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가장 크게 표시되고 이 가장 작게 표시된다.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태그 - 단락 만들기 태그로 표시되는 텍스트 단락은 태그를 만날 때까지 줄바꿈 없이 텍스트를 한 줄로 표시하는데 텍스트 줄이 브라우저 창의 너비보다 길어질 경우, 줄이 자동으로 바뀐다. 텍스트 태그 - 줄 바꿈 웹 브라우저 창에서 줄바꿈을 하려면 줄을 바꿀 위치에 태그를 사용한다. 태그는 닫는 태그가 없다. 그런데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로 표시된다. 태그 - 수평 줄 태그는 말 그대로 수평 줄을 삽입할 때 사용한다. 태그 - 인용문 다른 블로그나 사이트의 글을 인용할 경우, 태그를 이용해 표시한다.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태..
<body> 태그 - 실제 브라우저에 표시될 내용
<body> 태그 - 실제 브라우저에 표시될 내용
2018.01.10앞서 문서 유형을 정의하고 문서 정보까지 입력했다면 태그와 태그 사이에 실제 브라우저에 표시될 내용을 입력한다. 화면을 구성하는 색상과 배경, 레이아웃 등 모두 태그에서 나타낼 수 있다.
<meta> 태그 - 문자 인코딩 및 문서 키워드, 요약 정보
<meta> 태그 - 문자 인코딩 및 문서 키워드, 요약 정보
2018.01.10meta 태그는 화면에 글자를 표시하는 문자 인코딩 방법을 비롯해 웹 문서 키워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웹 문서 정보를 검색 엔진에게 전달해 주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meta 태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문자 인코딩을 지정하는 것이다. 웹 서버는 영어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웹 문서에서 한글을 표시하려면 한글을 화면에 나타내기 위한 문자 세트를 지정해야 하는데, 이것을 '문자 인코딩'이라고 한다. HTML5에서는 한글과 영문을 비롯해 모든 언어를 표시할 수 있는 utf-8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태그를 이용해 문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지정한 짧은 설명은 검색 결과에 사이트 설명으로 표시된다. 국내 검색 사이트에서는 각 포털 내의 블로그를 중심으로 검색하기 때문에..
<title> 태그 - 문서 제목
<title> 태그 - 문서 제목
2018.01.10태그 안에서 가장 중요한 태그를 꼽으라면 태그일 것이다. 태그에서 지정하는 내용은 거의 모든 웹 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에 표시되고, 해당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나 검색 엔진은 제목 표시줄의 제목을 보고 페이지 전체의 내용을 추측한다. 문서 제목
<head> 태그 - 브라우저에게 정보를 주는 태그
<head> 태그 - 브라우저에게 정보를 주는 태그
2018.01.10웹 브라우저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웹 브라우저가 알아야 할 정보들은 모두 태그 사이에서 문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주요 태그로는 태그와 태그가 있다. 태그 • http://uulog.tistory.com/137 태그 • http://uulog.tistory.com/138
ISO 639-1 표준
ISO 639-1 표준
2018.01.10ISO 639-1:2002는 ISO 639의 일부로, 그 이름은 "언어 이름의 표현에 대한 부호 - 1부: 알파-2 부호"(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1: Alpha-2 code)이다. 여기에는 136 개의 두 글자로 된 언어 부호가 등록되어 있다. 등록된 부호는 주요 언어에 해당한다. 이러한 코드들은 언어를 가리키는 국제적, 형식적 약어로 유용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 아르메니아어는 hy 로 표기 (자칭 հայերէն, Hayeren) • 네덜란드어는 nl 로 표기 (자칭 Nederlands) • 영어는 en 으로 표기 • 에스페란토는 eo 로 표기 • 프랑스어는 fr 로 표기 • 독일어는 de 로 ..
<html> 태그 - 웹 문서 시작을 알리는 태그
<html> 태그 - 웹 문서 시작을 알리는 태그
2018.01.10문서 유형을 선언한 후 실제 문서 정보와 내용이 시작되고 끝나는 것을 표시하는 태그가 태그다. 태그는 웹 문서가 시작된다는 뜻이고 태그는 웹 문서가 끝났다는 뜻이다. 태그에서는 lang이라는 속성을 사용해 문서에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라면 korea의 약자인 ko를 사용한다. ISO 639-1 표준 • http://uulog.tistory.com/135 간단히 라고만 해도 문제가 없는데 굳이 사용 언어를 명시하는 이유는 우선, 검색 사이트에서 특정 언어로 제한해 검색할 때 그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로 검색 결과 중에서 '한국어로 된 문서'로 범위를 제한할 경우, 라고 된 문서를 우선 검색한다. 또한 화면 낭독기에서 웹 문서를 소리내어 읽어줄 때 언어가 명시되면 그 언어에 맞추어 발..
<!doctype> - 문서 유형을 지정하는 선언문
<!doctype> - 문서 유형을 지정하는 선언문
2018.01.09웹 문서의 시작을 알려주는 태그보다 먼저 사용하는 것이 '문서 유형(document type)'을 지정하는 이다. 이때 지정하는 문서 유형이란 웹 브라우저에게 '이제 부터 처리할 문서는 HTML 문서이고 어떤 유형을 사용했으니 그 버전에 맞는 방법으로 해석하라'라고 알려주는 것이다. 이전 버전 HTML4에서는 문서 유형이 여러 가지였고 문서 유형을 지정하는 소스도 길었기 때문에 잘못 사용되거나 아예 문서 유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HTML5부터는 아래와 같이 단 한줄로 문서 유형을 선언한다. 웹 브라우저는 이 소스만 보고 'HTML5에 맞추어 문서를 해석하면 되겠다'라고 이해한다. HTML5에서는 현재 문서가 HTML 문서라는 점만 표기하는 것으로 문서 유형 선언이 끝난다. HTML4와..
HTML 기본 문서 구조
HTML 기본 문서 구조
2018.01.09• HTML : 웹 문서에 마크업하는 언어. 태그는 를 이용해 구분한다. 웹 브라우저는 사이에 있는 문자를 태그로 인식한다. 태그는 소문자로 쓴다. HTML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지만 HTML5 표준 명세에서는 태그와 태그 안에 사용하는 속성들은 모두 소문자로 사용할 것은 권장한다.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를 정확히 입력한다. 대부분의 태그는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가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웹 브라우저는 여는 태그에서 닫는 태그까지를 태그의 적용 범위로 인식한다. 적당히 들여 쓴다. HTML 태그는 기본 속성항 여러 번 띄어쓰기를 하더라도 한 칸의 공백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HTML 소스를 작성할 때 태그 사이의 포함 관계에 따라 단계별로 들여 쓰더라도 웹 브라우저에서는 단지 한 칸으로만 인식한..